신천지 계시록 비교, 어린양의 혼인 잔치 (계 19:7- 10)|
54. 어린양의 혼인 잔치(계 19:7- 10)
◎ 국내 저자들의 견해
저자명 |
저자들의 견해 |
페이지 |
김재준 |
20장의 천년왕국이 지나고 21장의 신부가 나타날 때에 일어날 일 |
p.304 |
김응조 |
4장에서 교회들(이스라엘 제외)이 환난 전 휴거 후에 이루어질 일을 상징 |
p.820 |
조용기 |
환난 전에 휴거된 성도들이 공중에서 상급 심판을 받고 신부로서의 예비 기간 7년이 경과한 후에 일어날 일을 상징(환난전에 휴거되지 못한 자들은 신부 될 자격이 없음.) |
p.275~276 |
박수암 |
혼인 잔치가 사실상 이르렀다고 하는 말이 아니고, 천년왕국 후에 있을 영원한 축복을 미리 여기서 예견한 것이다. 어린양의 신부는 21장에 가서야 등장하기 때문이다. |
p.241~242 |
이상근 |
지상의 대환난 기간 중 환난(7년)전에 들림을 받은 성도들이 상급의 심판을 받고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참여할 것을 상징 |
p.231 |
석원태 |
모든 종말론적인 사건이 지난 후 구원의 완성으로 누리게 될 축복을 상징 |
p.365 |
박윤선 |
이것은 비유로서, 교회가 완전히 예수 그리스도에게 영접되어 무궁한 안식과 영광을 누리게 되는 내세(來世)의 복된 생활을 상징 |
p.326 |
◎ 외국 저자들의 견해
저자명 |
저자들의 견해 |
페이지 |
데이크 |
환난 전에 휴거된 성도들이 공중에서 그리스도를 만난 후에 하늘로 올라가서 하늘에서 열리게 될 결혼 잔치를 상징 |
p.707 |
존 슨 |
충성과 고난으로 준비가 된 교회가 신랑 그리스도와 함께 이 땅 위의 하나님 나라의 시작으로 성취될 것을 상징(이에 대한 완전한 계시는 21장과 22장에 묘사되어 있다.) |
p.511 |
비더울프 |
첫째 부활의 때에 살아 있었거나 죽었던 성도들이 천년왕국의 영광과 통치에 참여하는 가운데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것을 상징 |
p.500~501, 503 |
헨드릭슨 |
갈보리 언덕 위의 십자가에서 그의 피로 지참금을 지불한 후에 혼인 기약이 이르러(재림) 복되고 영원한 교제에 들어갈 것을 상징 |
p.223 |
렌스키 |
주의 재림으로 시작될 이 잔치는 그리스도의 신부를 하늘의 혼인 잔치(영원 세계)로 데리고 가기 위해서 이루어질 일을 상징 |
p.432 |
왈부르드 |
환난 전에 휴거된 성도들이 환난 말기에 지상으로 재림하시는 신랑되신 그리스도와 땅 위에서 연합을 이루게 될 일을 상징 |
p.891 |
래 드 |
최후의 구속 사실을 암시하는 비유적 표현으로서, 그리스도와 그의 교회가 완전한 연합을 이루게 될 종말론적인 사건을 상징 |
p.322 |
바른 증거
신, 구약 성경 66권 안에는 크게 역사, 교훈, 예언, 성취, 네 가지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고, 이 중 예언은 배도, 멸망, 구원의 순서로 되어 있다(살후 2:1~3 참고). 하나님께서는 신, 구약 성경의 약속한 예언을 성취하신다. 구약의 예언은 성취되었으며(요19:30), 신약은 계시록 21장 6절에서 성취된다. 성도의 믿음은 약속한 예언대로 성취됨을 믿는 믿음이다(요14:29).
신약에서 계시록 18장 사건 후에 어린양(예수님)의 혼인 잔치가 있음을 예언하였다(마22:1~14, 마25장).
성경에는 하나님과 예수님을 신랑이라 하였다(렘31:32, 계19:7~9). 호세아 2장 19~20절에는 하나님께서 ‘내가 너(선민)에게 장가들어 영원히 산다.’ 고 하셨고, 바울은 정결한 처녀를 그리스도에게 중매한다고 하였다(고후11:2). 이는 육체와 육체의 결혼이 아니요, 하나님의 영과 사람(사람의 영)과의 결혼이며, 살 집은 사람의 마음의 집이다(고전3:16~17). 결혼할 시기와 장소는, 계시록 13장에 하늘 장막에 들어 온 영적 바벨론의 무리 짐승과 그 짐승에게 경배하고 표 받은 소(사명자)를 잡아 놓고(계16~18장, 마22:1~14) 영과 육을 모아 영적 시온산에서 하게 된다.(사25:6~8, 계14장) 이 곳이 어린양의 잔칫집이라는 증표(證票)를 잡아 놓은 소와 짐승이다. 이 때 등과 기름과 예복을 갖추지 못한 자는 잔치에 참예하지 못한다(마25:1~13 참고). 이 잔치에는 신학 박사, 교수, 총회장, 노회장, 목사, 장로라 할지라도 약속한 등, 기름, 예복을 갖추지 못하면 참예하지 못한다. 이 혼인 잔치는 배도의 일, 멸망의 일, 심판의 일 후에 있게 된다(살후 2:1~3 참고). 여기 잡아 놓은 소와 짐승이 있다. 성취된 실상을 증거할 때 믿겠는가?
이는 현장에서 본 자가 증거한 것으로, 이 증거가 참이다.
[참고 문헌]
1. 국내인 저서
저자명 |
도서명 |
출판연도 |
출판사 |
김재준 |
요한계시록 |
1969 |
대한기독교서회 |
김응조 |
성서대강해12권 |
1981 |
성청사 |
조용기 |
평신도를 위한 요한계시록 강해 |
1976 |
영산출판사 |
박수암 |
요한계시록 |
1991 |
대한기독교출판사 |
이 근 |
요한계시록 |
1968 |
성등사 |
석원태 |
요한계시록 강해 |
1984 |
경향문화사 |
박윤선 |
성경주석 계시록 |
1964 |
영음사 |
2. 외국인 저서
저자명 |
도서명 |
출판연도 |
출판사 |
데이크 (F.J.Dake) |
신약성경주석(하) |
1980 |
성원출판사 |
존 슨 (Alan F.Johnson) |
요한계시록 |
1990 |
기독지혜사 |
비더울프 (W.E.Biederwolf) |
종말과 재림(신약) |
1989 |
장안문화사 |
헨드릭슨 (William Hendriksen) |
요한계시록 |
1989 |
아가페사 |
렌스키 (R.C.H.Lenski) |
계시록 |
1981 |
백합출판사 |
왈부르드 (John F. Walvoord) |
요한계시록 해석 |
1991 |
보이스사 |
래 드 (G.E.Ladd) |
요한계시록 |
1990 |
크리스찬서적 |
출처 : 바로알자 신천지 http://cafe.daum.net/scjschool